수경주 패수의 정확한 번역은 아래와 같다.
浿水出樂浪鏤方縣東南 過臨浿縣東 入于海.
패수는 낙랑 누방현의 동남쪽에서 나와, 패(수)현의 동쪽 근처를 지나, 바다에 들어간다.
許慎云 浿水出鏤方東 入海 一曰出浿水縣.
허신이 이르길, 패수는 누방(현)의 동쪽에서 나와 바다에 들어간다. 또는 패수현에서 나온다고 말한다.
《十三州志》曰 浿水縣在樂浪東北 鏤方縣在郡東
13주지에 이르길, ’패수현은 낙랑의 동북에 있고, 누방현은 군의 동쪽에 있다.‘라고 했다.
蓋出其縣南逕鏤方也.
대개 그 현에서 나와 남쪽으로[또는, 그 현의 남쪽에서 나와] 누방을 경유한다.
昔燕人衛滿自浿水西至朝鮮. 朝鮮 故箕子國也.
예전 연인 위만이 패수 서쪽에서 조선에 왔다. 조선은 예전의 기자국이다.
箕子教民以義 田織信厚 約以八法 而不知禁 遂成禮俗.
기자가 義로써 民을 교화하니, 밭갈고, 길쌈하며 믿음이 두터워져 八法으로써 약조하여, 禁하는 것을 알지 못해도 드디어 예속이 생겼다.
戰國時 滿乃王之 都王險城 地方數千里 至其孫右渠.
전국시대에 만이 왕이 되어 王險城에 도읍하니, 땅이 사방 수천 리였고, 그 손자 우거에 이르렀다.
漢武帝元封二年 遣樓船將軍楊僕左將軍荀彘 討右渠,破渠于浿水,遂滅之
한무제가 원봉 2년에 누선장군 양복과 좌장군 순체에게 우거를 토벌하라 파견하니, 패수에서 우거를 깨트려 드디어 그 나라를 멸망시켰다.
若浿水東流,無渡浿之理,其地今高句麗之國治
만약 패수가 동쪽으로 흐른다면, 패수를 건넜을 리[理]가 없다. (왜냐하면) 그 땅은 지금의 고구려라는 나라의 치소이다.
余訪番使 言城在浿水之陽 其水西流逕故樂浪朝鮮縣 即樂浪郡治 漢武帝置 而西北流。
내가 番使[고구려 사신]에게 물으니, ‘성은 패수의 陽에 있다. 그 물은 서쪽으로 흘러 옛날의 낙랑 조선현을 경유한다. 즉 낙랑군의 치소로 한무제가 설치했다. 그리고 서북으로 흐른다.’라고 말했다.
故 《地理志》曰 浿水西至增地縣入海
고로 지리지에 이르길, ‘패수는 서쪽으로 증지현을 지나 바다로 들어간다.’라고 했고,
又漢興 以朝鮮為遠 循遼東故塞至浿水為界
또 한나라가 일어날 때, 조선이 멀리 있어 요동의 예전 塞를 따라 패수에 이르러 경계로 삼았다.
考之今古 於事差謬 蓋《經》誤證也
今古의 기록을 살펴보니, 事에서 차이가 있어 아마 經[수경]이 잘못 고증한 듯하다.
나가며,... ///////
수경주 패수의 기록을 통하여 다음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수경주에 기록된 패수는 지금의 한반도 북부의 평양지역을 가로질러 흐르는 대동강이다.
2. 역도원이 수경주를 저술하던 당시의 고구려인들은 자신들의 도읍인 평양을 위만조선의 도읍으로, 그리고 한무제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킨 이후에는 낙랑군 조션현 지역으로 인식하였다.
'내가 쓰는 우리 상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사기 열전에 기록된 昔于老의 사망연도 ver.0.200 (0) | 2025.04.12 |
---|---|
나음갈문왕과 포상팔국 전쟁에 대하여 ver. 0.220 (0) | 2025.04.11 |
나음갈문왕과 포상팔국 전쟁에 대하여 ver 0.210 (0) | 2025.04.10 |
갈문왕과 석씨신라 왕력 복원 (0) | 2025.04.06 |
三國志 韓傳의 臣智激韓忿에 대한 새로운 考察 (3)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