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신라의 왕호에 대하여 1赫居世居西干으로, 2대 남해는 次次雄으로, 3대 이후 왕들에게는 尼師今을 사용하였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삼국사기는 신라 왕호에 대하여 일관되게 居西干, 次次雄, 尼師今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것과는 달리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와 같이 居西干, 次次雄, 尼師今이라고 기록한 것 이외에도, 첫째 2대 남해에게 居西干이라는 왕호를 추가로 언급하였고, 둘째 삼국사기가 3대 이후의 왕들에게 尼師今이라고 기록한 것과는 달리, 尼叱今이라 기록한 후 이설로써 尼師今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기이편 탈해왕조에서 齒叱今이라는 왕호도 사용하였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삼국사기보다 오히려 삼국유사가 신라 초기 왕들의 왕호에 대하여 좀 더 풍부한 기록을 남긴 것임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이처럼 신라 초기 왕력에 기록되어 있는 居西干, 次次雄, 尼師今이라는 왕호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 이상의 자료를 필자의 허락없이 무단으로 배포하거나 상업적으로 사용한다면 민형사상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양해를 구합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livemir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