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왕호, 세 줄 요약
1.
거세(居世), 居西干(거서간), 尼叱今(이질금)=尼師今(이사금)은 모두 孕琴(잉금)의 획을 제대로 판독하지 못해서 생긴 誤讀(오독)이다.[책이 너무 낡아서]
2.
麻立干(마립간)은 痳錦(임금)의 획을 제대로 판독하지 못해서 생긴 誤讀(오독)이다.[책이 너무 낡아서]
3.
신라의 王號는 1.赫왕부터 7.아달라왕[이상 박씨신라, 1왕조], 8.탈해왕부터 15.흘해왕[이상 석씨신라, 2왕조] 그리고 김씨신라[이후 모두 3왕조]의 첫 왕 16.미추왕까지 孕琴(잉금)이고, 17.나물왕부터 22.지증왕까지는 痳錦(임금)이며, 23.법흥왕부터 王(왕)을 사용하였다.
'내가 쓰는 우리 상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원에 보이는 삼한에 대한 새로운 고찰1 ver 0.41 (0) | 2023.11.28 |
---|---|
한원으로 이해하는 삼국지 한전의 진한과 변한 ver0.25 (0) | 2023.10.19 |
신라의 왕호 거서간, 차차웅, 이사금 ver. 0.3 (0) | 2023.05.29 |
신라의 왕호 居西干, 次次雄, 尼師今 (0) | 2023.05.23 |
'임금'이라는 왕호의 기원에 대하여 (1)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