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대왕비문에 등장하는 ‘安羅人戍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연구자들 사이에도 이견이 많고, 그들 사이에 큰 차이를 가지고 있다. 연구자들의 주장을 살펴보면 하나는 安羅人戍兵을 하나의 명사로 파악하는 연구태도이다.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따르고 있다. 또 다른 하나는 왕건군의 주장이다. 그는 安羅人戍兵을 해석함에 주어는 고구려군대이고, 安은 동사, 羅人은 兼語(목적어?), 戍兵은 謂語(술어)로 파악하여 ‘고구려 군대가 신라인에게 수비시킨 것이다.’라는 의미로 파악하였다. 이처럼 연구자에 따라서 전혀 다른 내용이 되어 버린다. 역사적 사건은 하나인데,... 어느 것이 옳은 것인지? 아니면 다 틀린 것인지??
광개토대왕 비문에서 3번에 걸쳐 기록된 安羅人戍兵.pdf
0.10MB
///////
13년 전에 작성한 글을 새롭게 PDF 화일로 만든 것입니다.
'내가 쓰는 우리 상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공섭정 52년 추9월 기록에 대한 새로운 이해 Ver0.53 (0) | 2023.04.04 |
---|---|
신공섭정 52년 추9월 기록에 대한 새로운 이해 (1) | 2023.04.01 |
杼衾新羅國과 일본서기 신공섭정기 49년 기록 재검토 (0) | 2022.10.27 |
일본서기 신공섭정기에 기록된 波沙寐錦 고찰 ver 0.7 (0) | 2022.10.23 |
칠지도에 대한 새로운 고찰 Ver.0.75 (0) | 2022.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