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일 종족의 역사 내란』을 읽고,...
나 나름대로 한반도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신분과 관련하여 큰 획을 긋는 사건을 순서대로 나열해보면, 병자호란, 청일전쟁, 대한제국, 한일합방, 그리고 1912년에 제령으로 조선민사령과 조선형사령이 제정된 것이 아닐까 한다.
지금의 한반도에서 살아가는 모든 사람은 법 앞에서 평등하고 자연인으로서의 천부인권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그러하지 않았다. 조선의 통치 철학은 주자성리학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그에 따라 사람은 저마다 良賤으로 구분되어있는 신분사회였다. 그 신분사회가 무너지고 만인이 법 앞에서 평등해지기까지는 수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그리고 지금은 모두가 스스로를 한국 국민이라고 말하는 것에 주저하지 않는다.
이 책은 필자[이영훈교수]가 얼마 전 김문수 노동고용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와 뒤이어 벌어진 국회의 고용노동부 국정감사에서 벌어진 일제 강점기를 살아갔던 조선인의 국적문제와 관련하여 크게 이슈화된 정치적 사건을 계기로 집필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책은 김문수를 위한 변론의 성격이 강하지만, 독자인 나의 입장에서는 연구자가 객관성을 유지하면서 좌파 민중 민족 정치세력의 막무가내식 주장에 방대한 자료를 근거로 질서정연한 논증을 하는 형식으로 집필되어있다.
먼저 이 책은 ‘1장. 내란의 근원’에서 국적 논란과 관련하여 DJ를 지목하였다. 8편의 편지 형식으로 작성된 글에는 DJ의 학창시절로부터 시작하는데, DJ가 일본인이 세운 목포상업학교를 다니면서 일본 군복을 입고 조선 청년들을 연성 훈련시킨 교관으로의 활동한 것, 토요타[豊田]로 창씨한 것, 1946년 좌익 세력의 전국 조직인 민전의 중앙위원과 청총의 감사위원으로 이름을 올린 것 등을 지적하면서 급기야 비자금과 관련된 내용까지 짤막하게 언급하면서 고급지게 조목조목 논증을 하여 독자들이 시시비비를 판단할 수 있게 서술되어있다.
그리고 주익종의 글에서는 일제시대에 직접 사용된 여권의 사진까지 첨부하여 그 당시 한반도에서 살아간 조선인의 국적과 관련된 사실을 가감없이 설명한다. 그리고 임정요원들의 중국 국적 취득과 관련된 부분도 설명되어있다. 이러한 국적 문제는 작금에 있는 대한민국 국민의 이중국적 문제와 연결하여 여러 생각을 하게 해준다.
책은 550페이지 분량의 방대한 양이지만, 한국 근현대사에 많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는 독자라면 꼭 필독을 권하고 싶다. 독자에 따라 책을 읽으면서 자신이 알고 있던 역사와 전혀 다를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글이 혐오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에 친일파니, 매국노니 등으로 매도를 하거나 인신공격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방 이전에 스스로 객관적인 자료를 찾아 비교해 보는 것도 책의 내용을 음미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슈가 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력평가연구원에서 발행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2) | 2025.06.27 |
---|---|
김구가 일본상인을 살해한 후 나귀를 구입한 이유 (4) | 2025.06.22 |
제헌헌법의 前文에 대한 짧은 고찰 (5) | 2024.09.02 |
NLL (0) | 2013.06.25 |
KAIST, 선박 수중폭발 실험 성공…배 산산조각 나 (0) | 2013.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