歸義王, 歸義侯 그리고, 昔箕子之後朝鮮侯
인용문///// ①韓在帶方之南,東西以海爲限,南與倭接,方可四千里。有三種,一曰馬韓,二曰辰韓,三曰弁韓。辰韓者,古之辰國也。②馬韓在西。其民土著,種植,知蠶桑,作綿布。各有長帥,大者自名爲臣智,其次爲邑借,散在山海間,無城郭。有爰襄國、<국명 일부 생략>、月支國、<국명 일부 생략>、楚離國,凡五十餘國。大國萬餘家,小國數千家,總十餘萬戶。③辰王治月支國。臣智或加優呼臣雲遣支報安邪踧支濆臣離兒不例拘邪秦支廉之號。④其官有魏率善、邑君、歸義侯、中郎將、都尉、伯長。⑤侯准既僭號稱王,爲燕亡人衛滿所攻奪,[一]
[一]魏略曰:昔箕子之後朝鮮侯,見周衰,燕自尊爲王,欲東略地,朝鮮侯亦自稱爲王,欲興兵逆擊燕以尊周室。其大夫禮諫之,乃止。使禮西說燕,燕止之,不攻。後子孫稍驕虐,燕乃遣將秦開攻其西方,取地二千餘里,至滿番汗爲界,朝鮮遂弱。及秦並天下,使蒙恬築長城,到遼東。時朝鮮王否立,畏秦襲之,略服屬秦,不肯朝會。否死,其子准立。二十餘年而陳、項起,天下亂,燕、齊、趙民愁苦,稍稍亡往准,准乃置之於西方。及漢以盧綰爲燕王,朝鮮與燕界於浿水。及綰反,入匈奴,燕人衛滿亡命,爲胡服,東度浿水,詣准降,說准求居西界,(故)中國亡命爲朝鮮籓屏。准信寵之,拜爲博士,賜以圭,封之百里,令守西邊。滿誘亡黨,衆稍多,乃詐遣人告准,言漢兵十道至,求入宿衛,遂還攻准。准與滿戰,不敵也。 인용문 끝/////
위의 기록은 三國志 魏書三十 烏丸鮮卑東夷傳第三十의 동이전 한전의 기록 전반부이다. (단, 붉은 글자로 표현한 부분은 필자가 논지의 전개를 위하여 첨가한 부분이다. 그리고, 문장의 구두점은 중화서국에서 편찬한 [삼국지](1971년)를 따른 것이다.) 위 삼국지 한전을 보면 韓에 대한 전반적인 개괄을 한 후(①), 마한을 기록하고 있으며(②), 마한에 대한 간단한 사회상과 50여개의 국명을 나열하였다. 그런데 그 다음 이어지는 문장(③)에는 辰王과 臣智가 언급되어 있다.
필자는 ③번 문장을 아래와 같이 이해하고 있다. 辰王治月支國。臣智或加優呼,臣雲遣支報 安邪踧支濆,臣離兒不例 拘邪秦支廉之號。 (辰王은 月支國을 다스린다. 臣智는 간혹 우대하는 호칭을 더했다. 臣雲遣支報는 安邪(국명)踧支濆(인명),臣離兒不例는 拘邪(국명)秦支廉(인명)의 號이다.)
辰王, 安邪, 拘邪 등의 기록은 마한전 뒤에 기록되어 있는 진・변한전에 다시 등장한다. 진왕은 진한 12개국을 다스리는 진한의 왕이며, 安邪, 拘邪는 변한 12개국을 구성하는 국명이다.
④번과 ⑤번 문장을 보면 ‘其官有魏率善、邑君、歸義侯、中郎將、都尉、伯長。侯准既僭號稱王,爲燕亡人衛滿所攻奪’ 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끊어읽기는 연구자들 사이에 두루 통용되고 있으며, “그들의 관직은 魏率善 邑君 歸義侯 中郞將 都尉 伯長이 있다. 侯準[準]이 참람되이 王이라 일컫다가 燕에서 망명한 衛滿에게 공격받아 (나라를) 빼앗겼다.”라고 번역한다. 이러한 끊어 읽기와 번역이 타당할까?
먼저 문장에 배열되어 있는 작위를 살펴보면, ‘魏率善 읍군-귀의후-중랑장-도위-백장’ 순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중 읍군과 중랑장의 중간에 기록되어 있는 歸義侯가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歸義’를 검색어로 하여 삼국지를 검색해보면 歸義侯는 아니지만, 선비전에서 歸義王이 나타난다.
삼국지 위지 선비전의 歸義王 관련 기록은 아래와 같다. ㄱ)帝遣驍騎將軍秦朗征之,歸泥叛比能,將其部衆降,拜歸義王,賜幢麾、曲蓋、鼓吹,居並州如故。步度根爲比能所殺 。 ㄴ) 文帝立素利、彌加爲歸義王。素利與比能更相攻擊。
선비의 歸泥, 素利, 彌加가 魏황제로부터 歸義王으로 임명되었다는 기록이다.
삼국지 한전에 보이는 歸義侯 또한 魏의 황제로부터 받았을 것이며, 侯로 표현된 것으로 보아 歸義王보다는 한 등급이나 그 이하의 관작으로 파악된다. 삼국지 한전의 문장을 다시 보자. 원래의 문장은 아래와 같이 구두점이 하나도 없다. 其官有魏率善邑君歸義侯中郎將都尉伯長侯准既僭號稱王爲燕亡人衛滿所攻奪 이제 이 문장을 뜻이 통하도록 끊어읽기를 해보자. 其官(주어)有(서술어) 魏率善邑君 歸義侯,,, (우리말 번역을 해보면 ‘그들(其)의 관작은 魏率善邑君 歸義侯,,, 有한다.’이다.)
문장을 분석해 보면 其官이 주어이고, 有가 서술어이다. 주어는 ‘其’라는 지시대명사를 가지고 있다. 이 지시대명사가 가리키는 대상이 무엇인지는 앞의 문장에서 찾아야할 것이다.
더러 연구자들은 其가 가리키는 대상이 마한에 거주하는 長帥들로 이해하고 그 들이 魏황제로부터 邑君, 歸義侯, 中郎將, 都尉, 伯長 등를 받았다고 파악하곤 한다. 그러나 필자의 생각은 이와 전혀 다르다. ②번 문장으로 마한전에 대한 기록은 일단 끝이 난다. 그리고, ③번 문장은 변・진한에 대한 기록이다. 문장이 마한에서 변・진한으로 바뀌었으니, 지시대명사 ‘其’가 가리키는 대상은 바로 앞 ③번 문장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③번 문장은 필자가 분석한 바와 같이 두 명의 인명이 기록되어 있다. 그 중 1명이 魏황제로부터 歸義侯라는 작위를 받았을 것이다. 이 문장의 臣智는 독립된 존재(왕급)가 아니라, 진왕에 예속되어 있는 존재이다.(그러나 安邪 拘邪 등의 변한의 신지들은 호시탐탐 진왕의 그늘에서 벗어날려는 노력을 하였을 것이다.) 어쨋거나 魏황제는 변한의 신지를 회유하면서 歸義王이 아닌 歸義侯를 내렸고 그의 손에는 ‘魏率善邑君’이 새겨진 官印과 인수도 같이 건넸을 것이다.
다음에 살펴볼 것은 ‘侯’라는 글자이다.
‘侯’에 대한 기록을 삼국지 동이전에서 찾아보면, 고구려전에 句麗侯騊, 侯國, 동옥저전에 縣侯, 侯國, 不耐濊侯, 濊전에 朝鮮侯淮[準] 등이 보인다.
東沃沮전의 일부 문장을 보면 1) 其後皆以其縣中渠帥爲縣侯,不耐、華麗、沃沮諸縣皆爲侯國。(그 후 모두 其縣 中 渠帥로써 縣侯를 삼고, 不耐, 華麗, 沃沮의 여러 현은 모두 侯國으로 삼았다.)
삼국지 濊전에 있는 문장의 일부를 보면 2) 昔箕子既適朝鮮,作八條之教以教之,無門戶之閉而民不爲盜。其後四十餘世朝鮮侯淮僭號稱王(그 후 40여세 朝鮮侯 淮[準王]이 참람되게 왕으로 號稱했다.) 3) 後省都尉,封其渠帥爲侯(그 渠帥를 封하여 侯로 삼았다),今不耐濊皆其種也。
이번에는 ‘王’이 기록된 단어를 찾아보면 아래와 같다. 찾아보면 더 많이 있을 것이다. 夫餘王尉仇台, 句麗王宮, 不耐濊王, 親魏倭王卑彌呼, 倭女王卑彌呼, 狗奴國男王卑彌弓呼素,...
위에 있는 여러 기록에서 필요한 것을 간단히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다.
[국명, 또는 지명] + [王 또는 侯] + [인명] 句麗 + 侯 + 騊 朝鮮 + 侯 + 淮 夫餘 + 王 + 尉仇台 句麗 + 王 + 宮 倭 + 女王 + 卑彌呼 狗奴國 + 男王 + 卑彌弓呼素
그런데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기록은 騊, 尉仇台, 宮, 卑彌呼 등 인명만을 기록할 때는 그 앞에 王 또는 侯를 붙여 侯騊, 王尉仇台, 王宮, 女王卑彌呼 등으로는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다. 그러니 朝鮮侯淮[準]도 동일한 원칙으로 판단해야할 것이다. 그러니 이름만 기록된 경우라면 侯淮가 아니라 淮로 파악해야 공정하다는 것이다.
위의 ④번과 ⑤번 문장의 구두점은 ‘④其官有魏率善邑君歸義侯中郎將都尉伯長。⑤侯准既僭號稱王爲燕亡人衛滿所攻奪,’으로 되어 있다. 앞에서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제 기존의 끊어읽기를 버리고, 새로운 끊어읽기를 해보자. 당연히 侯淮[準]은 侯와 淮[準]으로 나누어 진다.
④其官有魏率善邑君歸義侯中郎將都尉伯長侯 ⑤准既僭號稱王,爲燕亡人衛滿所攻奪,
⑤번 문장은 侯가 있던 없던 의미를 파악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앞의 ④번 문장은 侯가 앞 문장의 말미에 붙어버리니, 侯의 역할을 생각해 보아야한다. 문장을 배열해 보자 ‘其官有 魏率善邑君 歸義侯 中郎將 都尉 伯長 侯’ ,,백장과 후를 떼어 놓으니 조금 어색하다. 歸義侯가 하나의 작위인 것처럼 侯자도 앞의 백장과 결합하여 伯長侯로 파악해야 뜻이 명확해지고, ③번 문장에 기록되어 있는 또 한명의 신지가 魏황제로부터 伯長侯라는 작위를 받았을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삼국지 왜인전을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今以難升米爲率善中郎將,牛利爲率善校尉
魏황제로부터 伯長侯라는 작위를 받은 신지는 難升米와 牛利가 받은 中郎將과 校尉도 같이 달라고 기괴한 주장을 하지 않았나 상상해 본다.(한전에는 都尉로 되어있다.)
그럼 ④번 문장을 정확히 끊어읽고 번역을 해보자. 其官有 魏率善邑君 歸義侯,中郎將都尉 伯長侯。(그들(其,2명의신지)의 관작은 魏率善邑君 歸義侯와 中郎將都尉 伯長侯이다.)
이제 마지막 ⑤번 문장이다. ⑤侯准[準]既僭號稱王,爲燕亡人衛滿所攻奪,이 짧은 문장에 대하여 삼국지 한전은 위략을 인용하여 긴 주석을 달아 두었다. 앞부분을 조금 살펴보자.
魏略曰:昔箕子之後朝鮮侯,見周衰,燕自尊爲王,欲東略地,朝鮮侯亦自稱爲王,欲興兵逆擊燕以尊周室。,...(이하 생략)
위략 인용문은 ‘昔箕子之後朝鮮侯(옛날 箕子의 후손 朝鮮侯),..’로 시작한다. 우리 상고사에 말도 많고 탈도 많은 箕子가 등장하고 있다. 단군에 대한 제대로 된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箕子에 대한 검토가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음에 계속,....... 감사합니다. ver. 0. 0000. 115
잡담 : 오늘이 정월대보름이네요. 부럼깨물기, 더위팔기, 귀밝이술마시기 등을 하며, 오곡밥을 먹는 날이지요. 저는 이글을 모두 작성한 후, 귀밝이술을 서너잔 마셨어요. 귀가 밝아야 기괴한 소리도 잘 들 수 있을 테니까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