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livemiri(2012-05-19 01:36:25, Hit : 0, Vote : 0)
연결 #1
http://blog.paran.com/livemiri
연결 #2
livemiri@paran.com
제목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民과 下戶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民과 下戶





夫餘
1. 戶八萬,其民土著,有宮室、倉庫、牢獄。
2. 邑落有豪民,名下戶皆爲奴僕。諸加別主四出,道大者主數千家,小者數百家。
3. 有敵,諸加自戰,下戶俱擔糧飲食之。

高句麗
4. 其國中大家不佃作,坐食者萬餘口,下戶遠擔米糧魚鹽供給之。其民喜歌舞,國中邑落,暮夜男女群聚,相就歌戲。
5. 宮密遣軍攻玄菟,焚燒候城,入遼隧,殺吏民。
6. 拔奇怨爲兄而不得立,與涓奴加各將下戶三萬餘口詣康降,還住沸流水。

沃沮
7. 夷狄更相攻伐,唯不耐濊侯至今猶置功曹、主簿諸曹,皆濊民作之。


8. 昔箕子既適朝鮮,作八條之教以教之,無門戶之閉而民不爲盜。其後四十餘世,朝鮮侯(淮)僭號稱王。陳勝等起,天下叛秦,燕、齊、趙民避地朝鮮數萬口。
9. 無大君長,自漢已來,其官有侯邑君、三老,統主下戶。
10. 自單單大山領以西屬樂浪,自領印七縣,都尉主之,皆以濊爲民。
11. 居處雜在民間,四時詣郡朝謁。二郡有軍征賦調,供給役使,遇之如民。


12. 馬韓在西。其民土著,種植,知蠶桑,作綿布。各有長帥,大者自名爲臣智,其次爲邑借,
13. 二十餘年而陳、項起,天下亂,燕、齊、趙民愁苦,稍稍亡往准,准乃置之於西方。(魏略曰)
14. 初,右渠未破時,朝鮮相曆谿卿以諫右渠不用,東之辰國,時民隨出居者二千餘戶,亦與朝鮮貢蕃不相往來。至王莽地皇時,廉斯鑡爲辰韓右渠帥,聞樂浪土地美,人民饒樂,亡欲來降。(魏略曰)
15. 桓、靈之末,韓濊強盛,郡縣不能制,民多流入韓國。
16. 建安中,公孫康分屯有縣以南荒地爲帶方郡,遣公孫模、張敞等收集遺民,興兵伐韓濊,舊民稍出,是後倭韓遂屬帶方。
17. 其俗好衣幘,下戶詣郡朝謁,皆假衣幘,自服印綬衣幘千有餘人。

倭人
18. 其俗,國大人皆四五婦,下戶或二三婦。婦人不淫,不妒忌。
19. 下戶與大人相逢道路,逡巡入草。傳辭說事,或蹲或跪,兩手據地,爲之恭敬。對應聲曰噫,比如然諾。



필자가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보이는 民과 下戶를 검색하였다.

위 기록들을 살펴보면 民이라는 표현은 濊와 관련하여 집중적으로 나타나 있으며 군데군데 인용된 魏略에도 많이 보인다. 이 民이라는 표현은 濊民, 燕、齊、趙民, 人民, 遺民, 舊民 등의 경우에서 보이는 것처럼 어떤 국가나 지역의 구성원인 일반 백성들을 말하는 표현이다. 즉 국가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외부의 적으로부터 국가를 지킬 수 있는 군사력, 그리고 국가의 중요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경제력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신분인 것이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기록되어 있는 民이 바로 국가에 군역 조세 사역 등을 담당하는 자들이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예,맥,왜,한 지역인 부여나 고구려 한 왜에 대하여는 民이라는 표현보다는 下戶라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부여나 韓의 경우 其民土著이라 하여 중국적 관점의 民을 그대로 표현하고 있다. 즉 부여나 韓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民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다.



부여는 諸加, 豪民에 대응하는 下戶가 있다.(2번, 3번)
고구려는 大家, 坐食者에 대응하는 下戶가 있다.(4번)
濊는 侯, 邑君, 三老에 대응하는 下戶가 있다.(9번)
한의 경우는 渠帥, 大者에 대응하는 下戶가 있다.
왜는 大人에 대응하는 下戶가 있다.(18번, 19번)



濊의 경우를 보면(10, 11번) 낙랑이나 都尉에 소속된 濊의 구성원들은 군역, 조세, 사역 등에 관하여 중국의 군현관련 기록에 보이는 民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 이들은 당연히 그 지역의 侯, 邑君, 三老 등으로부터 다스림을 받던 下戶임이 자명하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은 중국적 관점에서는 民으로 표현하고 東夷에 대하여는 民과 같은 대상을 下戶라고 표현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여의 경우 下戶는 奴僕과 비슷한 대우를 받았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어 그 당시의 실상을 유추할 수 있으며, 고구려의 경우는 坐食者를 위하여 생산물과 노동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왜인의 경우는 下戶와 大人 사이의 행동양식에 큰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권세있는 사람을 만나는 힘없는 백성의 지금 모습과 별반 달라 보이지 않는다.







다음에 계속
ver. 0. 6390. 6396









잡담 : 얼마 전 한국고대사학회 홈페이지를 방문하였는데 예전에는 학회발표문을 누구나 다운로드할 수 있게 공개하였는데, 지금은 회원만이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바뀌었더라구여. 한 번 씩 방문하여 좋은 논문을 읽곤 하였는데, 좀 아쉽더라구여. 다시 공개해주지 않으려나,...(희망사항ㅋ)
Posted by livemir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