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원본자료

삼국지 위지 동이전 濊 [번역문]

livemiri 2012. 5. 25. 19:57

삼국지 위지 동이전

濊南與辰韓北與高句麗沃沮接東窮大海今朝鮮之東皆其地也戶二萬

는 남쪽으로 辰韓, 북쪽으로 高句麗, 沃沮와 접하고, 동쪽으로 大海에 닿았으니, 지금 朝鮮의 동쪽이 모두 그 지역이다. 2만이다.

昔箕子既適朝鮮作八條之教以教之無門戶之閉而民不爲盜

예전 箕子가 이미 朝鮮에 가서 八條之教를 만들어 가르치니, 집의 문을 닫지 않아도 은 도둑질을 하지 않았다.

其後四十餘世朝鮮侯僭號稱王

그 후 40를 지나 朝鮮侯 準이 참람되게 이라 號稱했다.

陳勝等起天下叛秦趙民避地朝鮮數萬口

陳勝 등이 일어나고 천하가 진나라에 하니, , , 趙民 數萬口가 조선으로 피난하였다.

燕人衛滿魋結夷服復來王之

燕人 衛滿魋結夷服하고 와서 이 되었다.

漢武帝伐滅朝鮮分其地爲四郡自是之後漢稍別

漢 武帝는 조선을 정벌하여 멸망시키고, 그 지역을 나누어 四郡을 설치하였다. 이 후로부터 이 점차 구별되었다.

無大君長自漢已來其官有侯邑君三老統主下戶

大君長이 없고 이래로부터 관직은 , 邑君, 三老가 있어서 下戶를 통치하였다.

其耆老舊自謂與句麗同種其人性願愨少嗜欲有廉恥不請句麗

노인들은 예전부터 스스로 句麗와 같은 종족이다라고 말하였다. 人性은 삼가고 조심하여 욕심이 적고, 廉恥가 있어 구걸을 청하지 않는다.

言語法俗大抵與句麗同衣服有異男女衣皆著曲領男子擊銀花廣數寸以爲飾

언어와 法俗은 대체로 구려와 같지만 의복은 다르다. 남녀의 의복은 모두 분명히 曲領인데, 남자는 銀花를 두드려 넓이가 數寸인 것으로써 장식한다.

自單單大山領以西屬樂浪自領以東七縣都尉主之皆以濊爲民後省都尉封其渠帥爲侯今不耐濊皆其種也漢末更屬句麗

單單大山領으로부터 서쪽은 樂浪하었으며, 으로부터 동쪽 七縣都尉가 다스렸는데, 모두 로써 을 삼았다. 후에 都尉를 폐지하고 渠帥하여 로 삼았다. 지금의 不耐濊가 모두 그 종족이다. 漢末에 구려에 更屬되었다.

其俗重山川山川各有部分不得妄相涉入同姓不婚多忌諱疾病死亡輒損棄舊宅更作新居有麻布蠶桑作綿曉候星宿豫知年歲豐約不以誅玉爲寶

그들의 풍속은 山川을 중시하여 산과 내는 각기 부분이 나뉘어져 있어 함부로 서로()가 들어갈 수 없다. 同姓은 혼인하지 않는다. 꺼리는 것이 많아 질병이나 사망하게 되면 항상 옛 집을 버리고 다시 새 거처를 만든다. 麻布가 있고, 누에를 쳐서 綿을 만든다. 별자리의 조짐을 살피어 미리 年歲豐約을 알아낸다. 珠玉으로써 보물을 삼지 않는다.

常用十月節祭天晝夜飲酒歌舞名之爲舞天又祭虎以爲神其邑落相侵犯輒相罰責生口牛馬名之爲責禍殺人者償死少寇盜

항상 10월에 祭天하는데 밤낮으로 술을 마시며 노래하고 춤추니, 이를 이름하여 舞天이라 한다. 또 호랑이를 하고 으로 여긴다. 邑落에 서로()가 침범하면 항상 서로()生口나 소, 말로 罰責하는데, 이를 이름하여 責禍라 한다. 사람을 살해한 자는 죽음으로 보상하고 도둑질하는 자는 적다.

作矛長三丈或數人共持之能步戰樂浪檀弓出其地其海出班魚皮土地饒文豹又出果下馬漢桓時獻之

을 만드는데 길이가 3으로 간혹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하며 步戰에 능숙하다. 樂浪檀弓이 이곳에서 나온다. 바다에서는 班魚皮가 산출되며, 土地는 기름지다. 文豹가 있고 또 果下馬가 나는데 후한 桓帝 獻上하였다.

正始六年樂浪太守劉茂帶方太守弓遵以領東濊屬句麗興師伐之不耐侯等舉邑降

正始 6(서기245) 樂浪太守 劉茂帶方太守 弓遵으로부터 쪽의 가 구려에 속해있어 군대를 일으켜 정벌하였는데, 不耐侯 등이 을 들어 항복하였다.

其八年詣闕朝貢詔更拜不耐濊王居處雜在民間四時詣郡朝謁二郡有軍征賦調供給役使遇之如民

8(서기 247) 에 와서 조공하므로 를 내려 不耐濊王으로 更拜하였다. 民間에 섞여서 居處하면서 四時에 와서 朝謁하였다. 二郡軍征, 賦調가 있으면 役使供給하게 하여 처럼 대우하였다.

////// 번역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