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쓰는 우리 상고사
한원으로 이해하는 삼국지 한전의 진한과 변한 ver0.25
livemiri
2023. 10. 19. 14:15
나가며,.......
인간은 자연을 관찰하면서 자신의 감각이 인지하지 못하는 순간을 경계로 과학적 사고를 하기 시작하였다. 과학은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로부터 시작한다.
과학문명의 발달로 인해 인간의 눈은 이제까지 자신들이 볼 수 있는 한계를 뛰어넘었다. 그래서 미시세계는 전자현미경이 인간의 눈을 대신하여 원자의 세계까지 관찰할 수 있게 해주었으며, 지상에 있거나, 지구 주위를 선회하는 천체 망원경을 통하여 인간의 눈이 읽어 들이지 못하는 적외선, 자외선, X선. γ선의 파장까지 읽으며 137억 광년보다 먼 우주의 深淵을 들여다보고 있다. 이 모든 것이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사고 덕분이다. 그래서 우리는 예전보다 더 많이 우리가 사는 세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아이작 뉴턴은 요하네스 케플러라는 거인의 어깨 위에서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보았고, 알버트 아인슈타인도 아이작 뉴턴이라는 거인의 어깨 위에 서 있었기에 거인보다 더 먼 세상을 볼 수 있었다.
나는 최근 장초금이라는 古人을 만났고, 그의 눈을 통하여 진수의 한전을 조금 볼 수 있었다. 앞으로 그가 하는 이야기를 좀 더 들어보려고 한다. 대화의 상대에게는 生死나 시공간의 거리가 장애물이 될 수 없기 때문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