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쓰는 우리 상고사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기록된 24국
livemiri
2010. 1. 25. 00:14
livemiri (2006-11-19 16:38:00, Hit : 691, Vote : 12)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기록된 24국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韓관련 부분은 4단락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4개로 구분된 단락이 진수가 삼국지를 편수할 당시의 원형을 그대로 전하는 것인지 알 길이 없지만, 필자는 한전의 내용을 단락이 구분되지 않는 연결된 문장으로 보고자 한다. 참고로 원문은 파란 글씨로 ①진한전, ②변진전, ③변진전을 구분하였다.
먼저 살펴볼 문장은 아래와 같다.
/////////인용
❶ ①<辰韓>在<馬韓>之東, 其耆老傳世, 自言古之亡人避<秦>役來適<韓國>, <馬韓>割其東界地與之. <중간 생략> 名<樂浪人>爲阿殘 東方人名我爲阿, 謂<樂浪人>本其殘餘人. 今有名之爲<秦韓>者.
진한은 마한의 동쪽에 있다. 늙은이가 세상에 전하기를 스스로 “옛날에 진역을 피하여 도망온 사람들이 한국에 왔다. 마한이 그 동쪽 경계의 땅을 그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말했다. <중간 생략> 낙랑인을 일러 阿殘이라 하는데, 동방인은 我를 일러 阿라 한다. 낙랑인은 본디 그 나머지 사람들이라고 말한다. 지금 그들을 일러 秦韓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
❷ 始有六國, 稍分爲十二國. ②<弁辰>亦十二國, 又有諸小別邑, 各有渠帥, 大者名臣智, 其次有險側, 次有樊濊, 次有殺奚, 次有邑借.
처음 6국이 있었는데 작게 나뉘어져 12국이 되었다. 변진 역시 12국이다. 또 여러 작은 별읍이 있다. 각각 장수가 있어 大者는 臣智라 이르고, 그 다음은 險側이 있고, 다음은 樊濊 다음은 殺奚 다음은 邑借가 있다.
❸ 有1<已柢國>2<不斯國>3<弁辰彌離彌凍國>4<弁辰接塗國>5<勤耆國>6<難彌離彌凍國>7<弁辰古資彌凍國>8<弁辰古淳是國>9<冉奚國>10<弁辰半路國>11<弁樂奴國>12<軍彌國>13<弁軍彌國>14<弁辰彌烏邪馬國>15<如湛國>16<弁辰甘路國>17<戶路國>18<州鮮國>19<馬延國>20<弁辰狗邪國>21<弁辰走漕馬國>22<弁辰安邪國>23<馬延國>24<弁辰瀆盧國>25<斯盧國>26<優由國> <弁辰韓>合二十四國, 大國四五千家, 小國六七百家, 總四五萬戶.
❹ 其十二國屬辰王 辰王常用馬韓人作之世世相繼辰王不得自立爲王.{《魏略》曰: 생략...}
<이하 생략>
❺ ③<弁辰>與<辰韓>雜居, 亦有城郭. 衣服居處與<辰韓>同. 言語法俗相似, 祠祭鬼神有異, 施竈皆在戶西. 其<瀆盧國>與<倭>接界.
변진은 진한과 더불어 섞여 산다.(雜居) 또한 성곽이 있고, 의복거처가 진한과 더불어 같다. 언어 법속은 비슷하고 사제귀신은 다름이 있다. 부엌은 모두 집의 서쪽에 있다. 독로국이 왜와 더불어 경계가 접한다.
❻ 十二國亦有王, 其人形皆大. 衣服絜淸, 長髮. 亦作廣幅細布. 法俗特嚴峻.
12국 또한 왕이 있다. 사람의 형상은 모두 크고, 의복은 청결하며 머리가 길고, 또한 폭이 넓은 베옷을 입는다. 법속은 특히 엄준하다.
/////////인용 끝
❶번 문장을 통하여 그들은 이주민이라는 사실을 명백히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낙랑인과동류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 들의 선주지가 낙랑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❷번 문장은始有六國, 稍分爲十二國. <弁辰>亦十二國, 又有諸小別邑,이라고 되어 있다.
<弁辰>亦十二國에서 亦의 쓰임이 예사롭지가 않다. 亦의 쓰임은 일반적으로 앞에 대등한 조건의 문장이 있을 때 쓰인다. ②<弁辰>亦十二國,부분이 새로운 문장의 시작이라면 亦이 있어 어색하게 된다. <弁辰>十二國이라고 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뜻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어지는 ❸번 문장에서 국명을 죽 나열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稍分爲十二國과 <弁辰>亦十二國은 연결된 문장임이 명백해 보인다. 또 ❸번 문장에서 <弁辰韓>合二十四國은❹번 문장에 보이는 其十二國屬辰王...와 ❻번 문장의 十二國亦有王..에서 언급한 12+12=24와 일치하고 있다.
그런데 ❸번 문장은 26개의 나라를 나열한 다음 <弁辰韓>合二十四國라 하고 있다. 2國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 2國의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전은 서두에 <韓>在<帶方>之南, 東西以海爲限, 南與<倭>接, 方可四千里. 有三種, 一曰<馬韓>, 二曰<辰韓>, 三曰<弁韓>. <辰韓>者, 古之<辰國>也. 라고 되어 있어 마한, 진한, 변한을 밝혀 놓고 있다. 그러다 보니 ❸번 문장에서 여러 번 기록된 弁辰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弁辰은 무엇인가?
먼저 위지 동이전의진왕 관련 기록을 보면
/////
<辰王>治<月支國>. 臣智或加優呼 臣雲遣支報 安邪踧支濆 臣離兒不例 拘邪秦支廉 之號. 其官有 魏率善邑君 歸義侯 中郞將都尉 伯長侯
진왕은 월지국을 다스린다. 신지는 간혹 우대하는 호칭을 더했다. 臣雲遣支報는 安邪(국명)踧支濆(이름)이고, 臣離兒不例는 拘邪(국명)秦支廉(이름)의 호이다. 그 관직은 魏率善邑君 歸義侯와 中郞將都尉 伯長侯가 있다.
/////
安邪와 拘邪라는 국명이 보인다.
❺번 문장에도 其<瀆盧國>與<倭>接界.라 하여 瀆盧國이 보이고 있으며,
위지 동이전의 왜인전에도 <倭>人在<帶方>東南大海之中 <중간 생략> 從郡至<倭>, 循海岸水行, 歷<韓國>, 乍南乍東, 到其北岸<狗邪韓國>라 하여 狗邪韓國이 보인다.
이상 세 문장에서 安邪, 拘邪, 瀆盧가 弁辰이라는 수식어(?) 없이 쓰이고 있다. 이 점은 국명 앞에 기록된 弁辰이라는 것이 진한과 변한을 구분하기 위한 표현임을 알 수 있고, <弁辰韓>合二十四國에서弁辰韓은 弁辰과 辰韓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弁韓과 辰韓으로 구분함이 타당하다.뒤에 나열된大國四五千家, 小國六七百家, 總四五萬戶.에서 四五千, 六七百, 四五萬과 같은 용법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弁辰은 한자가 의하는 원래의 뜻에 따라 “辰을 두려워하다.”로 읽으면 弁辰狗邪國은 진한을 두려워하는 狗邪國, 弁辰安邪國은 진한을 두려워하는 安邪國, 弁辰瀆盧國은 진한을 두려워하는 瀆盧國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❺번 문장에 기록된 것처럼 瀆盧國이 倭와 경계를 접한다고 하여 ❸번 문장 <이전 생략> 22<弁辰安邪國>23<馬延國>24<弁辰瀆盧國>25<斯盧國>26<優由國> <弁辰韓>合二十四國에 보이는 바와 같이 24번째로 끝을 맺고 있다.
그렇다면 25<斯盧國>26<優由國>은 무엇인가?
답 : 25<斯盧國>은 매금왕이 살고 있는 신라의 왕경입니다. 26<優由國>은....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기록된 24국
삼국지 위지 동이전의 韓관련 부분은 4단락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 4개로 구분된 단락이 진수가 삼국지를 편수할 당시의 원형을 그대로 전하는 것인지 알 길이 없지만, 필자는 한전의 내용을 단락이 구분되지 않는 연결된 문장으로 보고자 한다. 참고로 원문은 파란 글씨로 ①진한전, ②변진전, ③변진전을 구분하였다.
먼저 살펴볼 문장은 아래와 같다.
/////////인용
❶ ①<辰韓>在<馬韓>之東, 其耆老傳世, 自言古之亡人避<秦>役來適<韓國>, <馬韓>割其東界地與之. <중간 생략> 名<樂浪人>爲阿殘 東方人名我爲阿, 謂<樂浪人>本其殘餘人. 今有名之爲<秦韓>者.
진한은 마한의 동쪽에 있다. 늙은이가 세상에 전하기를 스스로 “옛날에 진역을 피하여 도망온 사람들이 한국에 왔다. 마한이 그 동쪽 경계의 땅을 그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말했다. <중간 생략> 낙랑인을 일러 阿殘이라 하는데, 동방인은 我를 일러 阿라 한다. 낙랑인은 본디 그 나머지 사람들이라고 말한다. 지금 그들을 일러 秦韓이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
❷ 始有六國, 稍分爲十二國. ②<弁辰>亦十二國, 又有諸小別邑, 各有渠帥, 大者名臣智, 其次有險側, 次有樊濊, 次有殺奚, 次有邑借.
처음 6국이 있었는데 작게 나뉘어져 12국이 되었다. 변진 역시 12국이다. 또 여러 작은 별읍이 있다. 각각 장수가 있어 大者는 臣智라 이르고, 그 다음은 險側이 있고, 다음은 樊濊 다음은 殺奚 다음은 邑借가 있다.
❸ 有1<已柢國>2<不斯國>3<弁辰彌離彌凍國>4<弁辰接塗國>5<勤耆國>6<難彌離彌凍國>7<弁辰古資彌凍國>8<弁辰古淳是國>9<冉奚國>10<弁辰半路國>11<弁樂奴國>12<軍彌國>13<弁軍彌國>14<弁辰彌烏邪馬國>15<如湛國>16<弁辰甘路國>17<戶路國>18<州鮮國>19<馬延國>20<弁辰狗邪國>21<弁辰走漕馬國>22<弁辰安邪國>23<馬延國>24<弁辰瀆盧國>25<斯盧國>26<優由國> <弁辰韓>合二十四國, 大國四五千家, 小國六七百家, 總四五萬戶.
❹ 其十二國屬辰王 辰王常用馬韓人作之世世相繼辰王不得自立爲王.{《魏略》曰: 생략...}
<이하 생략>
❺ ③<弁辰>與<辰韓>雜居, 亦有城郭. 衣服居處與<辰韓>同. 言語法俗相似, 祠祭鬼神有異, 施竈皆在戶西. 其<瀆盧國>與<倭>接界.
변진은 진한과 더불어 섞여 산다.(雜居) 또한 성곽이 있고, 의복거처가 진한과 더불어 같다. 언어 법속은 비슷하고 사제귀신은 다름이 있다. 부엌은 모두 집의 서쪽에 있다. 독로국이 왜와 더불어 경계가 접한다.
❻ 十二國亦有王, 其人形皆大. 衣服絜淸, 長髮. 亦作廣幅細布. 法俗特嚴峻.
12국 또한 왕이 있다. 사람의 형상은 모두 크고, 의복은 청결하며 머리가 길고, 또한 폭이 넓은 베옷을 입는다. 법속은 특히 엄준하다.
/////////인용 끝
❶번 문장을 통하여 그들은 이주민이라는 사실을 명백히 알 수가 있다. 그리고 낙랑인과동류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 들의 선주지가 낙랑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❷번 문장은始有六國, 稍分爲十二國. <弁辰>亦十二國, 又有諸小別邑,이라고 되어 있다.
<弁辰>亦十二國에서 亦의 쓰임이 예사롭지가 않다. 亦의 쓰임은 일반적으로 앞에 대등한 조건의 문장이 있을 때 쓰인다. ②<弁辰>亦十二國,부분이 새로운 문장의 시작이라면 亦이 있어 어색하게 된다. <弁辰>十二國이라고 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뜻이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어지는 ❸번 문장에서 국명을 죽 나열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稍分爲十二國과 <弁辰>亦十二國은 연결된 문장임이 명백해 보인다. 또 ❸번 문장에서 <弁辰韓>合二十四國은❹번 문장에 보이는 其十二國屬辰王...와 ❻번 문장의 十二國亦有王..에서 언급한 12+12=24와 일치하고 있다.
그런데 ❸번 문장은 26개의 나라를 나열한 다음 <弁辰韓>合二十四國라 하고 있다. 2國의 차이가 있는 것이다. 이 2國의 차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전은 서두에 <韓>在<帶方>之南, 東西以海爲限, 南與<倭>接, 方可四千里. 有三種, 一曰<馬韓>, 二曰<辰韓>, 三曰<弁韓>. <辰韓>者, 古之<辰國>也. 라고 되어 있어 마한, 진한, 변한을 밝혀 놓고 있다. 그러다 보니 ❸번 문장에서 여러 번 기록된 弁辰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弁辰은 무엇인가?
먼저 위지 동이전의진왕 관련 기록을 보면
/////
<辰王>治<月支國>. 臣智或加優呼 臣雲遣支報 安邪踧支濆 臣離兒不例 拘邪秦支廉 之號. 其官有 魏率善邑君 歸義侯 中郞將都尉 伯長侯
진왕은 월지국을 다스린다. 신지는 간혹 우대하는 호칭을 더했다. 臣雲遣支報는 安邪(국명)踧支濆(이름)이고, 臣離兒不例는 拘邪(국명)秦支廉(이름)의 호이다. 그 관직은 魏率善邑君 歸義侯와 中郞將都尉 伯長侯가 있다.
/////
安邪와 拘邪라는 국명이 보인다.
❺번 문장에도 其<瀆盧國>與<倭>接界.라 하여 瀆盧國이 보이고 있으며,
위지 동이전의 왜인전에도 <倭>人在<帶方>東南大海之中 <중간 생략> 從郡至<倭>, 循海岸水行, 歷<韓國>, 乍南乍東, 到其北岸<狗邪韓國>라 하여 狗邪韓國이 보인다.
이상 세 문장에서 安邪, 拘邪, 瀆盧가 弁辰이라는 수식어(?) 없이 쓰이고 있다. 이 점은 국명 앞에 기록된 弁辰이라는 것이 진한과 변한을 구분하기 위한 표현임을 알 수 있고, <弁辰韓>合二十四國에서弁辰韓은 弁辰과 辰韓으로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弁韓과 辰韓으로 구분함이 타당하다.뒤에 나열된大國四五千家, 小國六七百家, 總四五萬戶.에서 四五千, 六七百, 四五萬과 같은 용법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弁辰은 한자가 의하는 원래의 뜻에 따라 “辰을 두려워하다.”로 읽으면 弁辰狗邪國은 진한을 두려워하는 狗邪國, 弁辰安邪國은 진한을 두려워하는 安邪國, 弁辰瀆盧國은 진한을 두려워하는 瀆盧國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❺번 문장에 기록된 것처럼 瀆盧國이 倭와 경계를 접한다고 하여 ❸번 문장 <이전 생략> 22<弁辰安邪國>23<馬延國>24<弁辰瀆盧國>25<斯盧國>26<優由國> <弁辰韓>合二十四國에 보이는 바와 같이 24번째로 끝을 맺고 있다.
그렇다면 25<斯盧國>26<優由國>은 무엇인가?
답 : 25<斯盧國>은 매금왕이 살고 있는 신라의 왕경입니다. 26<優由國>은....